맨위로가기

정탁 (정간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탁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시기 이순신을 구명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1581년 대사헌을 시작으로 이조판서, 예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했으며,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중추부영사에 이르렀다. 임진왜란 당시 유능한 장수들을 발탁하고, 이순신이 모함을 받아 옥에 갇히자 상소를 올려 그의 무죄를 주장하여 백의종군으로 풀려나게 했다. 사후에는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저서로 《약포집》과 《용만문견록》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주 정씨 - 제이영
    1980년대 미니멀 아트를 통해 고향 풍경을 간결하게 표현하고 1990년대 이후 오브제, 드로잉, 낙서 등으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탐구하는 대한민국의 미술가 제이영은 소비주의 비판과 동양적 사의를 담은 작품으로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 청주 정씨 - 정탁 (익경공)
    정탁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고려 우왕 때 예의판서를 지냈으며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 1등과 정사공신 2등에 책록되었고, 태종 때 청성군에 봉해졌으며 세종 때 우의정까지 올랐다.
  • 1526년 출생 - 라파엘 봄벨리
    라파엘 봄벨리는 이탈리아의 수학자로, 1572년 『대수』에서 복소수 개념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허수의 산술 규칙을 명확히 제시하며 삼차방정식 해법에서 복소수가 나타나는 경우를 최초로 지적하는 등 후대 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 1526년 출생 - 이양원
    조선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영의정까지 오른 문신 이양원은 뛰어난 행정 능력과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았으나, 임진왜란 당시 영의정으로서 서울 수비를 맡았음에도 선조의 파천 소식을 듣고 자결하였다.
  • 1605년 사망 - 야마우치 가즈토요
    야마우치 가즈토요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도사국을 얻어 다이묘가 되었고, 고치성을 축조하고 가다랑어 타다키의 유래를 만들었으며 20만 석의 영주가 되었으나 자식 없이 사망했다.
  • 1605년 사망 - 보리스 고두노프
    보리스 고두노프는 이반 뇌제 측근에서 차르까지 오른 16세기 말~17세기 초 러시아의 중요 인물로, 섭정 시절 개혁을 단행하고 차르로서는 서구 문물 수용 정책을 펼쳤으나 기근과 가짜 드미트리 1세의 난으로 혼란을 겪다 사망했다.
정탁 (정간공)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17세기에 그려진 작자 미상의 정탁 선생 초상
한글정탁
한자鄭琢
히라가나てい たく
가타카나チョン・タク
로마자 표기Jeong Tak
기본 정보
출생일1526년 11월 12일 (음력 10월 8일)
사망일1605년 10월 30일 (음력 9월 19일) (80세)
시호정간(貞簡)
거주지알 수 없음
가족 관계
배우자거제 반씨 부인(巨濟 潘氏 夫人, 반충(潘冲)의 장녀)
자녀3남 1녀
아버지정이충(鄭以忠)
어머니평산 한씨 부인(平山 韓氏 夫人, 한종걸(韓終傑)의 차녀)
친인척증조부: 정원로(鄭元老)
외조부평산한씨(平山韓氏) 한종걸(韓終傑)
장인반충(潘冲)
정치 활동
군주조선 선조 이연
임기1600년 2월 20일 ~ 1600년 4월 5일
직책좌의정(左議政)
정당무소속
기타 정보
학력알 수 없음
종교유교
웹사이트알 수 없음

2. 생애

1581년 대사헌, 이조참판, 진하사(進賀使)를 지냈다.[8] 1585년 이조판서, 1587년 예조판서를 거쳐 1589년 병조판서, 좌참찬을 역임했다.[8] 같은 해 우찬성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8] 1592년 좌찬성으로 영위사(迎慰使)가 되었다.[8] 1594년 우의정에 올랐다.[8] 1597년 옥중의 이순신(李舜臣)을 적극적으로 신구(伸救)하여 그를 죽음에서 구했다.[8] 1599년 좌의정, 중추부판사(中樞府判事)를 지냈다.[8] 1603년(선조 36년) 중추부영사(中樞府領事)가 되고 호종공신(扈從功臣) 3등에 책록되었으며,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에 봉해진 뒤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8] 1613년 사후 위성 공신(衛聖功臣) 1등에 녹훈되었고,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었다.[8]

2. 1. 초기 생애

2. 2. 관직 생활

1581년(선조 14년), 대사헌, 이조참판, 진하사(進賀使)를 역임하였다.[8] 1585년(선조 18년)에는 이조판서에 올랐다.[8] 1587년(선조 20년) 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8] 1589년(선조 22년) 병조판서, 좌참찬을 거쳐 우찬성에 올랐으며,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8] 1592년(선조 25년) 좌찬성, 영위사(迎慰使)를 역임하였다.[8] 1594년(선조 27년) 우의정에 올랐다.[8] 1597년 옥중에 있던 이순신을 적극적으로 신원하여 그가 죽음을 면하게 하였다.[8] 1599년(선조 32년) 좌의정, 중추부판사(中樞府判事)를 역임하였다.[8] 1603년(선조 36년) 중추부영사(中樞府領事)에 올랐으며, 호종공신(扈從功臣) 3등에 책록되고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에 봉해졌다. 이후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8]

2. 3. 임진왜란과 이순신 구명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이순신(李舜臣), 곽재우(郭再祐), 김덕령(金德齡) 등 유능한 장수들을 발탁하여 전란 극복에 기여했다.[2] 1597년(선조 30년) 이순신이 모함을 받아 옥에 갇히고 죽을 위기에 처하자, 선조에게 1298자의 신구차(伸救箚)라는 상소를 올려 이순신을 적극적으로 변호했다.[2] 이 상소는 이순신이 무고함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그의 군사적 재능과 충성심을 강조하여 결국 이순신을 백의종군으로 풀려나게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8] 이는 당시 정탁의 정치적 입지를 고려했을 때 매우 용기 있는 행동이었으며, 이순신을 구명함으로써 조선 수군을 재건하고 전세를 역전시키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2. 4. 사망

3. 저서 및 작품

정탁의 시문과 상소 등을 모은 문집으로 《약포집(藥圃集)》이 있다.[3] 또한, 명나라 사신으로 갔을 때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용만문견록(龍灣聞見錄)》이 있다.[4]

SBS의 드라마 《왕의 여자》에서는 배우 유종근이 정탁 역을 맡았다. KBS1에서 방영된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배우 임혁주가 정탁 역을 연기했다. 또 다른 KBS1 드라마 《징비록》에서는 배우 이대로와 이태로가 정탁 역을 맡아 그의 곧은 성품과 충절, 그리고 이순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3. 1. 저서

정탁의 시문과 상소 등을 모은 문집으로 《약포집(藥圃集)》이 있다.[3] 또한, 명나라 사신으로 갔을 때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용만문견록(龍灣聞見錄)》이 있다.[4]

3. 2. 관련 작품

SBS의 드라마 《왕의 여자》에서는 배우 유종근이 정탁 역을 맡았다. KBS1에서 방영된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배우 임혁주가 정탁 역을 연기했다. 또 다른 KBS1 드라마 《징비록》에서는 배우 이대로와 이태로가 정탁 역을 맡아 그의 곧은 성품과 충절, 그리고 이순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4. 가족 관계

증조고조부는 정보천이다.[5] 증조부는 정원로(1430년~?, 최종 관직: 현감)이다.[6] 조부는 정교이다. 아버지는 정이충이고, 어머니는 평산 한씨 한종걸의 차녀이다. 처는 거제 반씨 반충의 장녀이다.

5. 전기 자료

정탁의 전기 자료는 다음과 같다.


  • 신익성, 《낙전당집》 권11, 충근정량호성 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좌의정 겸 영경연사 감춘추관사 세자부 서원부원군 증시 정간공 정공 묘표
  • 이민구, 《동주집·문집》 권6, 의정부 좌의정 서원부원군 정공 시장
  • 조현명, 《귀록집》 권16, 약포 정 공 신도비명
  • 정온, 《동계집》 권4, 정간공 서원부원군 정 공 묘지명
  • 황섬, 《식암집》 권4, 충근정량호성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중추부사치사 서원부원군 정공행장
  • 황여일, 《해월집》 권13, 유명조선국충근정량호성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중추부사 서원부원군 약포 정 선생 행장
  • 정윤목, 《청풍자집》 권4, 선고충근정량호성공신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좌의정영중추부사치사서원부원군부군행적

참조

[1] 웹사이트 鄭琢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people.aks.ac[...]
[2] 뉴스 [사필귀정] 바늘보다 실이 굵으면 http://news.naver.co[...]
[3] 웹사이트 한국고전종합-약포집 http://db.itkc.or.kr[...]
[4] 웹사이트 한국고전종합-용만문견록 http://db.itkc.or.kr[...]
[5] 웹사이트 한국학자료센터 만가보 http://kostma.net/im[...]
[6] 웹사이트 연산 39권, 6년 http://sillok.histor[...]
[7] 서적 낙전당집 권11, 충근정량호성 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좌의정 겸 영경연사 감춘추관사 세자부 서원부원군 증시 정간공 정공 묘표
[8] 서적 약포집 권2, 이순신을 구원해야 함을 논하는 차자〔論救李舜臣箚〕; 권3, 이순신 옥사에 대한 의론〔李舜臣獄事議〕참조
[9] 서적 식암집 권4, 충근정량호성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중추부사치사 서원부원군 정 공 행장
[10] 서적 청풍자집 권4, 조고증순충적덕보조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겸령 경연 홍문관 예문관 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 청성부원군 부군 묘갈명
[11] 서적 간이집 권2, 증(贈) 이조 판서(吏曹判書) 정공(鄭公)의 묘갈명
[12] 서적 약포집 권4, 부인 이씨의 묘지〔夫人李氏墓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